제1과목. 직업상담학
2016년도~2019년도 기출문제 유형별로 보기
1. 특성요인 직업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상담의 내용은 내담자의 흥미나 선호에 기반한다.
② 상담자의 역할은 지지자의 역할과 같다.
❸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따른다.
④ 상담자는 반응적이고 배려적 역할을 한다.
해설: 상담자는 교육자의 역할이며,상담자는 주장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.
2. Parsons가 제안한 특성ㆍ요인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고도로 개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개인과 직업을 연결하는 것이 핵심이다.
② 사람들은 누구나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.
❸ 특성이란 숨어 있는 특징이나 원인이 아니라 기술적인 범주이다.
④ 직업선택은 직접적인 인지과정이기 때문에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특성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.
3. 특성-요인 직업상담에서 일련의 관련 있는 또는 관련 없는 사실들로부터 일관된 의미를 논리적으로 파악하여 문제를 하나씩 해결하는 과정은?
① 다중진단 ② 선택진단
❸ 변별진단 ④ 범주진단
4. 특성-요인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행동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.
② 특성은 특정 상황에 대해서만 타당한 것으로 여겨진다.
③ 특성은 학습되는 것이다.
❹ 개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의 집합이다.
5. 특성-요인 상담의 목표가 아닌 것은?
❶ 내담자가 잠재적인 모든 개성을 발달시키는 데 주력한다.
② 내담자가 자기 자신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 가능성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.
③ 내담자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수집, 분석, 종합할 수 있도록 한다.
④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.
6. 특성-요인 상담에서 Strong과 Schmidt가 중요하게 생각한 상담사의 특성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?
① 신뢰 ② 전문성
③ 매력 ❹ 공감
7. 직업상담에서 특성-요인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섯 가지 유형으로 성격 특성을 분류할 수 있다.
❷ 각각의 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의 집합이다.
③ 개인은 일을 통해 개인적 욕구를 성취하도록 동기화되어 있다.
④ 직업적 선택은 개인의 발달적 특성이다.
8. Williamson의 특성-요인 직업상담의 단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?
ㄱ. 분석 ㄴ. 종합 ㄷ.진단 ㄹ.예측 ㅁ.상담 ㅂ.추수지도
❶ ㄱ → ㄴ → ㄷ → ㄹ → ㅁ → ㅂ
② ㄷ → ㄱ → ㄴ → ㅁ → ㄹ → ㅂ
③ ㄴ → ㄱ → ㄹ → ㄷ → ㅁ → ㅂ
④ ㄱ → ㄷ → ㅁ → ㄴ → ㄹ → ㅂ
9. 특성요인 직업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상담의 내용은 내담자의 흥미나 선호에 기반한다.
② 상담자의 역할은 지지자의 역할과 같다.
❸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따른다.
④ 상담자는 반응적이고 배려적 역할을 한다.
10. Parsons가 제안한 특성ㆍ요인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고도로 개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개인과 직업을 연결하는 것이 핵심이다.
② 사람들은 누구나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.
❸ 특성이란 숨어 있는 특징이나 원인이 아니라 기술적인 범주이다.
④ 직업선택은 직접적인 인지과정이기 때문에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특성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.
<특성-요인 직업상담의 의의>
∨대표학자: 윌리암슨,파슨스
∨지시적상담
∨특성: 측정가능한 개인의 특징을 의미한다
∨요인: 성공적 직업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특징을 의미한다.
<특성-요인 직업상담의 특징>
∨상담자중심상담(지시적),상담자는 교육자 역할, 주장적이고 주도적인 역할 수행.
∨문제의 객관적 이해에 중점을 둔다
∨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따른다
∨직업과 사람 연결시키기
<특성-요인 직업상담의 과정>
∨분석- 종합 - 진 단 - 예후 또는 처방- 상담 - 추수지도 (또는 사후지도)
'자격증 > 직업상담사2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직업상담사 2급 필기 독학으로 가능할까 (0) | 2021.11.09 |
---|